투자(INVEST)194 고바이오랩 마이크로바이옴 시대가 온다 [고바이오랩] -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신약 FDA 첫 승인으로 신규 신약 modality로 관심 증대. - 고바이오랩 2023년 상반기 건선 치료제 임상 2상 결과, 하반기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 임상 2상 결과 발표 예정. 환자 대상 효능 및 안전성 입증 예정 [고바이오랩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FDA 승인으로 개발 기대] - 지난 12월 2일 스위스 제약사 페링파마슈티컬이 인수한 Rebiotix가 개발한 C. difficile 감염치료제 Rebyota(RBX2660)에 대해 FDA 승인 획득. 마이크로바이옴으로 첫 FDA 승인 사례로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임상 가이드 라인 정립을 통해 신약 개발 확대 전망. C. difficile 감염에 대한 기존 치료법은 건강한 타인의 대변 이식이나, Rebyota는 대.. 2023. 1. 25. 엔에프씨 중국 리오프닝 수혜주 [엔에프씨] - 화장품 원료 제조 판매 업체 엔에프씨의 사업동향 점검. 3Q22에 매출액 85억원(-23% y-y; 이하 y-y), 영업이익 7.3억원(-67%) 기록. - 최대 고객사 판매 부진 영향으로 4Q21부터 1년간 매출이 크게 하락. 하지만 기저 효과와 중국 리오프닝에 따른 최대 고객사 판매 회복 가능 여부에 더 관심을 가질때. - 한편, 추가로 지켜보아야할 부분은 신규 고객 확보 여부. 단일 고객에 대한 높은 매출 의존도가 낮아질때 의미있는 주가 재평가 가능할 것 - 2012년 화장품 소재 제조 판매 업체로 시작해, 2018년 이후 화장품 완제품을 제조하는 ODM으로 사업을 확장중. 2020년 12월 코스닥 시장 상장. 2022년 3분기 누계 기준 소재와 ODM 매출 비중은 55% : 45%.. 2023. 1. 24. 오하임아이엔티 전망과 실적 리뷰 [오하임아이엔티] - 10년 이상 온라인 마케팅 및 유통에 초점을 맞춰온 가구업체 오하임아이엔티의 사업 동향 점검. - 3Q22 매출액은 77억원으로 전년 동기 수준 유지, 영업이익은 2.0억원으로 76% y-y 감소. 수요 약세로 원자재 가격 상승을 판매 가격에 전가하지 못하며 수익성 악화. - 2022년 초부터 리오프닝 영향으로 가구 수요가 약해 졌으나, 2023년에도 기저 효과를 기대 하긴 어려운 상황. 경기에 민감한 가구 소비는 2H23 회복 전망 [오하임아이엔티 3Q22 실적 리뷰] - 오하임아이엔티는 2010년 설립된 가구 업체. 사업 초기에는 가구 업체들의 온라인 유통을 대행 해주는 온라인 유통 사업자였으나, 2015년 IMM벤처 펀드가 경영권을 확보한 이후(2022년 IMM인베스트먼트가 지.. 2023. 1. 18. 엔젠바이오 해외로 나아가는 NGS시장 [엔젠바이오] - 예방적 차원의 NGS 수요 확대로 핵심 제품의 동남아, 서남아 시장 진출 가속화 중. - 타사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2023년 CLIA 랩진출 창구 확보한 만큼 미국 향 실적 발생 가능하며, CB 발행으로 인한 단기 오버행 이슈는 제한적 [NGS 해외 진출을 시작하는 엔젠바이오] - NGS 사업부 3분기 누적 기준 매출 2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0.5% 상승. 핵심 제품인 BRCAaccuTest(유방암, 난소암), ONCOaccuPanel(고형암), HEMEaccuTest(혈액암)을 중심으로 예방적 차원의 NGS 수요 증대로 인한 해외 공급 계약 체결중. 지난 11월 사우디 의료 조달청(NUPCO)에 2023년부터 2년간 총4,000건 규모의 HEMEaccuTest 공급 계약 체결.. 2023. 1. 18. 진시스템 글로벌 진출 모멘텀과 포트폴리오 확장 [진시스템] - 국내 동물병원 중심 POCT 진단 시장 진출로 포스트 코로나19 실적 회복중. - 실적 회복 속도 아쉬우나, 글로벌 POCT 진단 업체 인수 사례 지속됨에 따라 동시 진단 100개까지 가능한 동사 플랫폼의 파트너십 확보 가능성 증대 [진시스템 코로나19의 높은 기저 대비 실적 회복 진행중] - 2022년 3분기 누적 기준으로 전체 매출액 29억원(-67.7% y-y), 영업손실 43억원(적전y-y)기록. 급격한 엔데믹 전환으로인한 진단 매출 감소 및 동물 진단 플랫폼 확장으로인한 연구 개발비 집행으로 적자 지속중이나, 동물병원 향 진단 시스템 보급은 바베시아 감염증 외에 지난 11월 반려견 진드기 4종 키트 허가와 함께 2021년 말 40개에서 2022년 말까지 150개 병원으로 증가하며.. 2023. 1. 17. 큐라클 2023년 첫 PoC결과 발표 [큐라클] - CU06(당뇨병성 황반부종 치료제) 임상 2a상 진행중, 2023년 중반 임상 완료예정. 오픈 라벨 임상으로 2023년 top line 결과 확인 기대. - CU01 임상 디자인 변경하여 2023년 임상 2b상 개시. 세분화된 환자 모집으로 약물과 무관한 노이즈 줄여 임상 효율화 전략 구사. [2023년 CU06 결과 확인] - 지난 6월 임상 1상에서 안전성 확인 이후 2022년 9월 당뇨병성 황반 부종 환자 대상 임상 2a상 FDA IND 승인. 12월 첫 환자 투약 개시하여 2023년 중반내로 임상 완료 목표, 4Q23 CSR(Clinical Study Report, 임상결과 보고서) 수령 예상. 오픈 라벨 방식의 임상 진행으로 중간 결과 확인이후 당뇨병성 황반 부종 2b상 및 습성 .. 2023. 1. 16.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33 다음